삼국지의 영걸들 / 기타가타 겐조
서장 내가 삼국지를 쓴 이유 / 정사에는 작위가 담겨있다
<정사>를 읽고, '역시, 그렇구나' 하고 느낀 것은, <요시카와 삼국지>에도 <삼국지연의>에도 이야기 전체적인 톤을 결정하는 중요한 명장면인 <도원결의>가 없었다는 점이다. 유비와 관우, 장비 세 사람이 만나 복숭아 나무 아래에서 의형제를 맺는 에피소드는 <촉서>의 <선주전>에도 <관우전>, <장비전>에도 없다. 그리고 여포와 동탁이라는 괴물스런 악역 사이를 갈라놓은 경국지색 초선도 나오지 않았다. 또 하나 알게된 중요한 것은, 촉의 유비나 제갈량 공명에 대해 편을 드는 듯한 기술의 대부분은 <연의>, 거기에 일본의 삼국지 소설 <역사관>이 출처라는 점이다.
<정사>를 쓴 진수는 처음에는 촉나라를 섬긴 문관이었지만, 촉이 멸망한 후에는 오랫동안 백수로 지내던 끝에 위나라를 바탕으로 건국된 진 왕조에 발탁된 사람이었다. 그래서 위촉오 삼국 중에서는 촉나라에 가장 애착을 지녔고, 그 애착은 삼국 시대의 정사를 <위서>로서가 아닌 <촉서>, <오서>를 합쳐놓은 <삼국지>로 정리해놓은 점에서도 알 수 있을 것 같다. 그렇다고는 해도 황제의 업적을 정리한 <본기>는 <위서>에서만 있고, 촉의 유비는 <촉서 선주전>에, 오의 손권은 <오서 오주전>이라는 한단계 낮은 취급을 받고 있다. 후한을 잇는 중국 왕조의 정통성은 위나라로 본 것이다. 그러나 얼핏봐도 위나라 황제에 비해 내용이나 분량이 적은 촉의 유비와 제갈량의 움직임이 실은 위나라 황제의 전기, 또는 오나라 왕의 전기 속에서 잔뜩 들어가있다. 촉을 향한 공감(シンパシー)이 드러나지 않게 <정사> 속에 숨어있는 것이다. 그러니까 <정사>의 역사적 정통성은 조조, 위나라에 두고 있으면서도 <난세의 간웅>이라는 표현(スパイス) 또한 담아둔 것이다.
서장 내가 삼국지를 쓴 이유 / 정사에는 작위가 담겨있다
<정사>를 읽고, '역시, 그렇구나' 하고 느낀 것은, <요시카와 삼국지>에도 <삼국지연의>에도 이야기 전체적인 톤을 결정하는 중요한 명장면인 <도원결의>가 없었다는 점이다. 유비와 관우, 장비 세 사람이 만나 복숭아 나무 아래에서 의형제를 맺는 에피소드는 <촉서>의 <선주전>에도 <관우전>, <장비전>에도 없다. 그리고 여포와 동탁이라는 괴물스런 악역 사이를 갈라놓은 경국지색 초선도 나오지 않았다. 또 하나 알게된 중요한 것은, 촉의 유비나 제갈량 공명에 대해 편을 드는 듯한 기술의 대부분은 <연의>, 거기에 일본의 삼국지 소설 <역사관>이 출처라는 점이다.
<정사>를 쓴 진수는 처음에는 촉나라를 섬긴 문관이었지만, 촉이 멸망한 후에는 오랫동안 백수로 지내던 끝에 위나라를 바탕으로 건국된 진 왕조에 발탁된 사람이었다. 그래서 위촉오 삼국 중에서는 촉나라에 가장 애착을 지녔고, 그 애착은 삼국 시대의 정사를 <위서>로서가 아닌 <촉서>, <오서>를 합쳐놓은 <삼국지>로 정리해놓은 점에서도 알 수 있을 것 같다. 그렇다고는 해도 황제의 업적을 정리한 <본기>는 <위서>에서만 있고, 촉의 유비는 <촉서 선주전>에, 오의 손권은 <오서 오주전>이라는 한단계 낮은 취급을 받고 있다. 후한을 잇는 중국 왕조의 정통성은 위나라로 본 것이다. 그러나 얼핏봐도 위나라 황제에 비해 내용이나 분량이 적은 촉의 유비와 제갈량의 움직임이 실은 위나라 황제의 전기, 또는 오나라 왕의 전기 속에서 잔뜩 들어가있다. 촉을 향한 공감(シンパシー)이 드러나지 않게 <정사> 속에 숨어있는 것이다. 그러니까 <정사>의 역사적 정통성은 조조, 위나라에 두고 있으면서도 <난세의 간웅>이라는 표현(スパイス) 또한 담아둔 것이다.
덧글
승자에게 힘이 많이 실리는 법이니까요.
진수의 상황에서라면 저라도 위나라에 정통성을 주려 할 거 같네요.
조금 늦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.
그렇게 생각하니 북방선생님이 말한 드러나지않는 촉을 향한 동정, 공감이란 말을 곱씹게 되네요.
새해에도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. 행복하세요.
저도 몇년만에 책을 다시 읽어보고 있어서 감회가 새롭네요.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.